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편집 2024.03.28 [17:20]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섹션이미지
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공지사항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개인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HOME > 칼럼 > 이송학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태극 6장과 팔괘사상의 6번째인 감(坎)의 관계
 
이송학 박사 기사입력  2018/11/16 [13:35]
광고
▲ 이송학 박사     © 한국무예신문
품새 강의를 하다가 보면 많은 질문을 받게 된다. 그 중에 자주 받는 질문중 하나는
왜, 「태극6장은 오른발이 뒤로 빠지며 바로를 하는가?」이다. 이번 칼럼은 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태극6장에서 오른발을 뒤로 빼며 바로! 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형은 시작한 지점에 와서 끝마쳐야 한다.(최홍희, 1966, 태권도지침)
- 왼발을 앞으로 당기며 바로를 하면은 시작한 제자리보다 한걸음 반 앞에서 마치게 된다.
둘째, 품새는 시작점에 와서 마침(끝)을 해야 한다.는 회귀성의 원리가 있다.
(이경명, 2005, 태권도 품새의 이해)
- 시작한 제자리에 오기위해서 오른발을 뒤로 당긴다.
셋째, 지르기로 명치를 가격하는 상황 상 왼발이 앞으로 나갈 공간이 없다.
- 명치를 가격당한 상대는 나의 앞으로 쓰러지기에 뒤로 피하며 바로를 할 수 밖에 없다.
넷째, 태극 6장에 반영된 팔괘사상의 6번째인 감()의 사상 중함정에 대비한 기술이다.
 
태극6장이 지닌 팔괘 사상
  
교 본
  
내 용
  
태권도교본
1975년
(대한태권도협회)
  
⦁태극6장은 감(坎)을 의미하며 「감」은 물과 같이 유연함을 뜻하는 것이다.
6장도 유연한 동작으로 진행되는 품세이다.
⦁인(人)과 만물의 생명을 키워주는 물을 근원으로 하였다.
⦁돌려차기를 처음으로 넣어 6장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 돌려차기는 발이 몸 옆에서 완전히 돌아나가 차는 것이다.
  
국기태권도교본
1987년
(국기원)
  
⦁태극6장은 팔괘의 감(坎)을 의미하며 감은 물을 나타내고 끊임없는 흐름과 유 연함을 뜻한다.
⦁만물의 생명원인 물의 특성처럼 기술의 연결이 물 흐르듯 해야 한다.
  
태권도교본 2005년
(국기원)
  
⦁태극6장은 팔괘의 감(坎)을 의미하며 감은 물을 나타내고 끊임없는 흐름과 유 연함을 뜻한다.
⦁만물의 생명원인 물의 특성처럼 기술의 연결이 물 흐르듯 해야 한다.

 위 공식 교본에 설명된 감(坎)은 구덩이를 뜻한다. 구덩이가 왜 물(水)과 같은 유연함을 뜻하는지는 언급이 없지만 다음의 내용을 이해하면 태극6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팔괘 6번째 사상이 갖는 상징 3요소
  
팔괘의 6번째 상징
 
자연현상 
 
인간의 성품 
  
감(坎)
  
물(水)
  
빠지다(陷)
  
구덩이
험난하다
  
시냇물
강 물
  
함 정
계 략

 태극6장에서 물과 같이 유연함을 상징하는 동작


태극6장에서 상대가 파놓은 함정(계략)에 대비해 경계하는 동작

태극6장은 부드럽고 유연하게 끊임없이 흐르는 물처럼 동작은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하며 그런 의미로 연속동작이 많으며 서기에서는 물이 흘러가는 물고랑과 물이고이는 구덩이를 상징하듯 앞굽이와 뒤굽이가 주종을 이루며 끝까지 상대를 경계하는 품새(品勢)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기사입력: 2018/11/16 [13:35]  최종편집: ⓒ 한국무예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이송학칼럼] 태극 6장과 팔괘사상의 6번째인 감(坎)의 관계 이송학 박사 2018/11/16/
[이송학칼럼] 품세의 원천기술 “굴러 딛기”와 신기술 “짓찧기” 탐색 이송학 박사 2018/09/11/
[이송학칼럼] 태권도 정체성 확립과 이미지 제고를 위한 유급자 띠 체계 조사연구 이송학 박사 2018/02/06/
[이송학칼럼] 태권도 십진 품새 의의와 기법 풀이 이송학 박사 2017/08/09/
[이송학칼럼] 태권도 띠에 새겨진 이름, 어느 쪽이 옳을까? 이송학 박사 2016/07/25/
[이송학칼럼] 품새수련은 국기원 규정을 준용(準用)해야 한다 이송학 박사 2016/01/13/
[이송학칼럼] 불교사상이 접목된 금강품새 고찰(考察) 이송학 박사 2015/10/23/
[이송학칼럼] “태권도 품새의 꽃은 고려품새이다” 이송학 박사 2015/08/21/
[이송학칼럼] ‘팔괘 사상’과 ‘태극7장’의 뜻을 재해석해보며… 이송학 박사 2015/08/0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
광고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개인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