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편집 2024.03.28 [17:20]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섹션이미지
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공지사항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개인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HOME > 칼럼 > 무예이야기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십팔기지명(十八技之名)과 이십사목(二十四目)
조선 국기 명칭에 관한 연구<2>
 
박청정(전통무예연구가) 기사입력  2014/04/09 [08:19]
광고
십팔기지명(十八技之名)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서문의 문장에서 《무예도보통지》전서(全書)의 내용과 편서(編書)의 구성을 무시하고 여기 한 문장에서 24기로 표현한 것이 있다고 하여 십팔기(十八技) 무예를 모방하여 비전문인들을 속여서 24기 단체를 설립하고 지방문화재로 지정하려는 짓은 실로 가당치도 않는 일이다,
 
1. 무예의 본질
 
《무예도보통지》를 편찬한 경과보고서에 해당하는 <병기총서:안설>은 임금에게 진상하는 글이라고 하여 흔히 진설(進說)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무예 십팔기를 보전하고 계승하는 그 근본적인 정신과 무예의 본질적인 속성을 서술하고 있다.
 
조정(朝廷)에서 실용(實用)의 정책을 강론하고......(중략)......실용(實用)의 기물(器物)을 만들면 위국(衛國)에 무슨 염려가 있으며, 보민(保民)에 무슨 근심이 있겠습니까?
 
朝廷講實用之政......(중략)......作實用之器則何慮乎衛國何患乎保民也哉.
 
무예의 본질은 국가를 보위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국가유지의 초석이 되는 것으로 칼끝만큼이나 날카롭고, 붓끝만큼이나 정교한 것이다. 대충 어느 하나의 단어가 있다고 하여 아전인수(我田引水)의 격으로 자의로 전단하여 해석할 문제가 아니며, 더구나 민족의 혼(魂)이 담겨서 겨레의 장래가 좌지우지될 수 있는 국가의 무예와 무예서적을 한 개인이나 한 단체의 호구책(糊口策)으로 삼아 어설픈 지식의 잣대로 농락하는 것이 바로 처절하면서도 아름다운 조종의 맥락을 배역하는 역적(逆賊)의 행위라는 것이다.
 
2. ‘기예(騎藝) 등(等) 육기(六技)
 
이미 앞서의 문장에서 ‘십팔기지명(十八技之名)’이라고 하여 십팔기(十八技)가 조선 무예의 명칭임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다음에 나오는 문장은 정조 임금이 무예를 한 권의 책으로 통편(通編)하여 정리하는 작업을 열거하고 있을 뿐인 것이다.
 
짐은 무의식(武儀式)과 전형(典刑)을 이어가도록 힘쓰고 또 기예(騎藝) 등(等)의 육기(六技)를 다시 더하여 이십사기(二十四技)로 하였으며, 이미 명을 받고 고거(考据)하여 효습(曉習)한 사람이 이삼인(二三人)이다. 원속(原續)의 도보를 모아 합하여 의(義), 예(例), 전(箋)을 바로 잡아서 묶고, 그 원류를 해석하고 제도를 평가하여서 정하고, 명물로 하여금 예술의 묘용으로서 한 권의 책을 펴내서 그 책의 이름을 관령(管領)으로서 《무예도보통지》라고 하였다.
 
肆予繩武儀式典刑又以騎藝等六技復增爲二十四技已而命曉習考据者二三人裒合原續圖譜檃括義例箋釋其源流評騭於制度使名物藝術之妙用一展卷管領名其書曰武藝圖譜通志.

▲ 《어제무예도보통지》서문     © 한국무예신문

무의식(武儀式)은 무관들의 의식 절차와 규칙이며, 전형(典刑)은 규범이 되는 법전인데 여기에서는 조선의 무예 법전인 《무예제보》와 《무예신보》이다. 조선은 왕토(王土) 국가로서 임금의 어명으로 편찬한 ‘어제서(御製書)’는 그 자체가 법전이며 명(命)이 바로 교령(敎令)이 되어 법제화가 되었던 나라였다.《무예제보》와 《무예신보》에서 규정된 십팔기(十八技)를 무관들이 익혀야 하는 군사의식으로 이어가도록 정치를 하였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 다음에 ‘기예(騎藝) 등(等) 육기(六技)’라는 글이 나오는데 기예(騎藝)는 말을 타고 마상(馬上)에서 운용하는 기예(技藝)를 말한다. 그런데 그냥 기예육기(騎藝六技)라고 하지 않고, 등(等)의 글자를 넣어서 표현한 것은 기예(騎藝)는 기창(騎槍), 마상월도(馬上月刀), 마상쌍검(馬上雙劍), 마상편곤(馬上鞭棍)의 사기(四技)이며, 격구(擊毬)와 마상재(馬上才)는 무예가 아니고 군사오락이나 군사유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예도보통지》의 무예는 본래 22가지이며, 이 스물 두 가지는 《무예신보》에서 정리된 것이다. 《무예신보》에서도 22가지를 싣고서 그 무예의 명칭은 ‘십팔기(十八技)’라 하였으니 말을 타고 마상에서 운용하는 기예(騎藝)는 근본적인 무예, 십팔기(十八技)를 말위에서 응용하는 기예에 불과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기예(騎藝) 등(等) 육기(六技)’라는 표현에서 격구(擊毬)나 마상재(馬上才)는 무예는 아니지만 하나의 군사들의 오락 기술(技術)로 치부하여 ‘육기(六技)’라고 표현하고 있으니 뒤에 나오는 24기로 표현한 것 역시 무예의 명칭이 아니라 단순한 기술의 가짓수인 수사(數詞)에 불과한 것이다.
 
《무예도보통지》전서에서 명칭을 의미하는 명(名)의 글자를 넣어서 표현한 것은 서문의 ‘십팔기지명(十八技之名)’과 <병기총서> 영조 35년 조에 ‘본조무예십팔반지명(本朝武藝十八般之名)’으로 확고하게 기재되어 있지만 24기의 표현은 서문 외에도 범례에 한 번 더 나오지만 명(名)의 글자는 어디에도 없다.
 
따라서 ‘십팔기(十八技)’라는 한 명칭은 우리나라 역사상에서 최초로 국가에서 이름 지어진 무예의 정식 명칭이자 공식 명칭인 반면에 24기는 서적의 문서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나온 일반적으로 가짓수를 나타낸 것에 불과한 단어인 것이다.
 
3. 이십사목(二十四目)
 
24기가 단순한 수사(數詞)요, 항목을 나타낸다는 더 확실한 증거는 <병기총서:안설>에서도 나오고 있다.
 
지금의 무사(無事)한 날에 이르러 유용(有用)한 서적을 편성하는 것은 적(敵)에 대한 의분한 마음으로 모멸(侮蔑)을 막는데 가히 실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무예신구보(武藝新舊譜) 24항목 모두를 경들에게 사여하여 경들이 자세히 살펴서 닦아 엮은 것에 《무예도보통지》라는 이름을 내리노라.
 
及今無事之日編成有用之書則敵愾禦侮可期實效玆以武藝新舊譜二十四目盡畀爾等看詳編摩賜名武藝圖譜通志.
 
▲ 《어제무예도보통지》병기총서:안설     © 한국무예신문

말을 타고 병기를 운용하는 기예는 오랜 옛날부터 있어왔다. 우리 겨레를 흔히 기마민족(騎馬民族)이라 할 때의 의미는 말을 단순히 교통의 수단으로만 사용하여 온 것이 아니라 전쟁의 도구로 이용하여 중원의 벌판을 내달리며 이민족(異民族)의 침략을 극복하여 왔다는 의미이다.
 
《무예제보》가 있기 전에도 기마전술은 있었고, 《무예신보》의 편찬을 명하기 전에도 기병(騎兵)은 있었지만 정조 임금의 생부인 소조(小朝)가 기창(騎槍), 마상월도(馬上月刀), 마상쌍검(馬上雙劍), 마상편곤(馬上鞭棍)의 네 가지로 정리하여 창류(槍類), 대도류(大刀類), 단병류(短兵類), 기병류(奇兵類)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24기라는 단체에서 주장하는 《무예신보》에서 십팔기가 형성되고 《무예도보통지》에서 마상의 기예가 첨가 발전되었다는 것은 무예에 대하여 전혀 문외한과 다름이 없는 무지하기 짝이 없는 말인 것이다. 위의 문장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이십사목(二十四目)’이라 밝히고 있듯이 24기는 무예의 명칭이 아니라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무예 및 기타 종목의 가짓수, 즉 항목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무예 십팔기는 예(禮)와 덕(德)을 밝혀서 먼저 인간이 되어야 하는 무덕(武德)의 함양으로부터 교육이 시작된다. 엄격한 스승의 슬하에서 우리 무예의 교육을 체계대로 배우지 못하였고, 글도 읽을 줄 모르는 무식한 자들이 전통무예인이라고 국가의 공무원을 속여서 선현들의 무예도(武藝道)를 어지럽혔으니 그 죄가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하늘이 어리석은 인간도 사랑함에 다만 깊은 반성과 참회, 그리고 무예계의 선배 스승들께 스스로 용서를 구하는 길은 열려 있을 것이다.
 
《무예신보》에서 ‘십팔기(十八技)’가 완성되어 무예 십팔기와 십팔기를 응용하는 기예(騎藝) 네 가지를 함께 실어 22가지를 하였다는 것은 《무예도보통지》의 편서(編書)한 구성의 기호를 살펴보면 자세히 알 수 있는데 뒤에서 논한다.
 
그러면 어찌하여 무예가 아닌 군사오락인 격구와 마상재가 《무예도보통지》에 실렸는가 하면 이 둘은 군사들의 체력을 강화하는 군사체육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말 타기에 능할 수 있어 군사훈련과 유사한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정조 임금은 만사에 주도면밀하신 분으로 생부인 소조(小朝)가 이룩해 놓은 십팔기(十八技)의 유업을 더욱더 계승하여 완벽성을 기하려고 《무예도보통지》가 편찬되었다고 앞서 지적하였다. 격구와 마상재의 증설(增說)과 안설(案說)에서도 이 둘은 오락, 유희임을 여러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이 두 가지 군사오락만이 《무예도보통지》를 편찬할 때 더 첨가된 것이다.
 
4. 다시 서문으로
 
상기한 서문에서 ‘원속(原續)의 도보(圖譜)’란 원(原)은 《무예제보》이며, 속(續)은 《무예신보》를 가리킨다. 이 둘의 무예 법전을 모아서 무예서를 편찬하는 의의(義意)와 법식(法式), 그리고 문서의 해설을 정갈하게 바루며 하나하나의 무예에 대하여 그 원천적인 유래를 살펴보고 그 실기와 병기를 지금의 제도에 맞추며 조종으로부터 내려오는 두 서적의 명작들을 예술적인 이용으로 살려서 책을 만들어 국가 기관의 이름으로 《무예도보통지》라고 책이름을 부여하였다는 말이다.
 
이러한 내용은 정조 임금이 규장각과 장용영의 신하들에게 명하여 ‘십팔기(十八技)’의 역사적인 유래와 그 병장무기에 대하여 더 충실하게 정리한 《무예도보통지》의 편서작업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세계는 문화의 세기를 맞이하여 자국의 축척된 문화로서 전쟁을 벌이는 무한경쟁의 시대로 돌입하였다. 수천 년 겨레 역사의 변천과정 속에서 우리 무예의 정신과 그 실기가 ‘십팔기(十八技)’로 응축되었고, 선현들의 유산으로 물려받은 전통의 무예 문화인 십팔기는 우리나라의 다양한 문화 중에서 핵(核)에 해당하는 정신문화의 보고이다.
 
이러한 문화유산을 경건한 마음으로 시대에 맞게 다시 갈고 닦아서 문화 전쟁의 예리한 병기로 사용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불순한 무리들이 호구지책(糊口之策)으로 삼아 선명해야할 무예의 정신과 실기를 기만하여 우리의 병기를 좀먹고 있는 현실은 반드시 국가적인 차원에서 바로 잡혀야 할 것이다.

(다음에 계속)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기사입력: 2014/04/09 [08:19]  최종편집: ⓒ 한국무예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 무혼 2014/04/17 [00:22] 수정 | 삭제
  • 정확히 말하자면 도장에 입문, 3,4년 정도 배우다가 도장문 닫아걸고 6개월 정도 집중적으로 배웠다 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답이 나올텐데 뭐가 의문인지 모르겠네요.
  • 관장 2014/04/13 [12:00] 수정 | 삭제
  • 내 제자 중에 지금 미국에 간 최상철이 있다. 지금 무예도보통지 무술을 계승한 한국 전통 무예라면서 모 무술 단체(십팔기)의 장을 하는 김 모씨(김광석)가 그에게서 무술을 배웠다. 6개월 정도 문 닫아걸고 개인 지도를 받았다.------ 저도 도장을 운영하는 관장입니다. 장문의 댓글을 읽고 의문점이 생기네요.6개월간 문을 닫고 개인지도를 했다는데.... 보통 개인지도는 기존의 무술 경력이 많은 분들을 대상으로 하게 됩니다. 완전 초짜를 6개월간 가르친다고 해도 타고난 천재가 아닌이상 초보수준 면하기 힘들죠, 반대로 이미 무예를 어느정도 익혔다면 6개월이면 훌륭한 스승아래 많은 것은 배울수 있겠죠 ㅎㅎ. 무튼 이부분이 좀 이해하기 어려운 주장입니다. 도대체 6개월간 문닫고 개인지도 할 정도면 돈을 얼마나 받아야 할까요? 또한 무술을 전혀 모르는 사람은 진정한 스승도 몰라 볼텐데... 과연 큰돈을 쓰면서 입문을 시작할수 있을런지;;; ㅎㅎ ㅅㄱㅇ
  • 무혼 2014/04/11 [10:02] 수정 | 삭제
  • 언제까지 사기치나 한 번 봅시다. 중국권법 가져다가 한국전통무예라고 우기는 나쁜 놈들!
  • 최진욱 2014/04/09 [20:32] 수정 | 삭제
  • 글을 읽다가 무예에대한 잘못된 인식에 장문으로 답글을 적어 봅니다.. 이러한 글이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진실인양 오도 되지 않도록 무예신문에서는 지면으로 토론의 장을 마련 해 주시기 바랍니다.. 심히 우려가 됩니다...
  • 최진욱 2014/04/09 [20:30] 수정 | 삭제
  • 적에 대항하기위해 왜검을 비롯하여 본국검, 예도등의 단병기를 훈련한것이지요.. 우리 무예의 이름이 18기가 아니라 그렇게 양쪽 적을 대응하기 위한 무예를 수록하다보니 18기가 된것입니다.. 이러한 무예들을 그림으로 설명해다해서 도보통지 인것이지요.. 아전인수격 해석을 진실인양 후대들에게 주입하는 것은 큰 잘못입니다.
  • 최진욱 2014/04/09 [20:29] 수정 | 삭제
  • 글을 읽고 많이 답답합니다.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무예는 크게 북방의 침략군을 대비한 것과 왜구의 침략을 대비하기 위한 무예로 구분됩니다. 북방 이민족의 침략을 뎌비하기위해 기마술과 기마병을 대비 하기위해 장창, 당파 등과 같이 말 타고 침입하는 적에게 긴 장류의 병장기 사용법을 조련했고, 왜구와 같이 칼을 들고 침입하는
  • 십팔기 2014/04/09 [16:43] 수정 | 삭제
  • """"""내 제자 중에 지금 미국에 간 최상철이 있다. 지금 무예도보통지 무술을 계승한 한국 전통 무예라면서 모 무술 단체(십팔기)의 장을 하는 김 모씨(김광석)가 그에게서 무술을 배웠다. 6개월 정도 문 닫아걸고 개인 지도를 받았다. ... 물론 그는 쿵후를 배우기 전에 다른 무술을 배운 적이 없었다. 그런데 나중이 되자 누가 봤느냐, 사진 찍은 것 있느냐는 식으로 하면서, 오히려 자기가 나를 가르쳤다고 소문을 내고 다녔다. - 대한쿵후협회 황주환 회장의 증언 황주환 총재의 회고는 우리나라 무술계의 역사 그 자체이다. ... 그의 제자인 최상철 사범에게서 반년간 무술을 배운 사람이 일 년 뒤에 도장을 내고, 모 쿵후협회 회장을 하다가, 지금은 한국 전통 무예 단체의 회장이 되어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고 있다. 나는 그가 쿵후협회 회장을 할 당시에 발급한 유단자 단증부터 많은 유형 무형의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그 회장님께서 무술 지도를 하거나 도장을 내는 것은 별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가 중국 무술을 배웠고, 현재 가르치는 내용도 대부분 중국 무술인데, 자꾸 한국 전통 무예로 주장한다는 것이 바로 문제이다. - 서울팔괘장연구회 팔괘장 6대 전인 한병철 씨의 증언""""""""" 십팔기 보존회 이제 진실히 밝혀졌다. 대단하다. 무예한다는 사람이.. 십팔기 진실해지자... 문체부에서는 전통무예진흥법을 적용할때 역사적 배경을 보고 우리무예인지 중국무예인지 확인후 지정해야된다. 정말로 제자들 보기에 챙피스럽다.
  • 2014/04/09 [16:28] 수정 | 삭제
  • 다른 게시글에는 30년이상된 무예종목에 18기도 턱허니 포함시켜 개체수를 늘리더니 이글 올라오니까 싹 바뀌내. 글도 지워버리고... 공작에 능하시내.. 일단 이글은 맞는말 하는 것 같으니 넘어가깨요.
  • 쥬스 2014/04/09 [11:35] 수정 | 삭제
  • 그럼 조만간에 또 올라오게 되겠지요. 해범 김광석 씨는 오공 윤명덕 선생으로부터 십팔기를 사사받았다고. 그런데 신기하게도 십팔기 단체의 말에 다르면 오공 선생은 1890년대 전후 태생이랍니다. 십팔기의 전수지인 오군영은 1881년에 이미 무위영과 장어영에 통합, 폐지되었는데 참 신기하죠. 도대체 어디서 십팔기를 배운 걸까요? 정확한 신상내역과 사승관계를 공개하라면 또 이럴 겁니다. 문중의 일이다. 불경스럽다. 중국 전통권, 일본 고무술, 정종으로 인정받은 모든 전통무술단체들은 이런 부분에 있어서 투명합니다. 유독 십팔기만 떳떳하지 못하더군요. 사실이 아니니 그럴 수 밖에요. 고수를 찾아서 개정증보판, 한병철 저, 뿔문화사, 2011, p.354-355 에 보면 이런 말이 나옵니다.

    내 제자 중에 지금 미국에 간 최상철이 있다. 지금 무예도보통지 무술을 계승한 한국 전통 무예라면서 모 무술 단체(십팔기)의 장을 하는 김 모씨(김광석)가 그에게서 무술을 배웠다. 6개월 정도 문 닫아걸고 개인 지도를 받았다. ... 물론 그는 쿵후를 배우기 전에 다른 무술을 배운 적이 없었다. 그런데 나중이 되자 누가 봤느냐, 사진 찍은 것 있느냐는 식으로 하면서, 오히려 자기가 나를 가르쳤다고 소문을 내고 다녔다.
    - 대한쿵후협회 황주환 회장의 증언

    황주환 총재의 회고는 우리나라 무술계의 역사 그 자체이다. ... 그의 제자인 최상철 사범에게서 반년간 무술을 배운 사람이 일 년 뒤에 도장을 내고, 모 쿵후협회 회장을 하다가, 지금은 한국 전통 무예 단체의 회장이 되어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고 있다. 나는 그가 쿵후협회 회장을 할 당시에 발급한 유단자 단증부터 많은 유형 무형의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그 회장님께서 무술 지도를 하거나 도장을 내는 것은 별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가 중국 무술을 배웠고, 현재 가르치는 내용도 대부분 중국 무술인데, 자꾸 한국 전통 무예로 주장한다는 것이 바로 문제이다.
    - 서울팔괘장연구회 팔괘장 6대 전인 한병철 씨의 증언

    진실이 이럴진데 어찌 거짓으로 세상을 우롱하려 드는지 모르겠군요. 한국무예신문의 주필이 십팔기보존회 신성대 회장이라서 이런 칼럼이 여과없이 실리는 듯 하지만, 무덕도 갖추지 못했고 무혼도 없으면서 중국무술을 전통무예라고 사기치는 십팔기야 말로 그 죄가 크다 할 수 있겠습니다.
  • 쥬스 2014/04/09 [11:26] 수정 | 삭제
  • 본문에 무덕을 갖춰 인간이 되어야 한다. 국가공무원을 속여 무예도를 어지럽혔으니 그 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반성과 참회, 무예계의 선배 스승들께 스스로 용서를 구해야 한다, 고 하셨는데 그 말 그대로 십팔기 단체에 돌아가게 되는군요. 쿵후하던 사람이 전통무예라고 자처하며 대중을 속이고 문화재 등록마저 하려하니 무술계 뿐 아니라 세상을 기만하는 그 죄가 얼마나 큰 지 헤아릴 길이 없습니다. 해범 김광석 씨는 대한쿵후협회 황주환 회장의 제자인 최상철 사범에게 중국무술을 배웠으니 지금이라도 반성과 참회하여 용서를 구해야 함이 마땅치 않겠습니까.
  • 쥬스 2014/04/09 [11:26] 수정 | 삭제
  • 보예인 십팔기는 무예고, 기예는 무예로 쳐주지 않는다는 건 어디서 나온 발상인지 모르겠군요. 십팔기 하시는 분들은 늘 똑같은 말만 하더군요. 말을 타고 마상에서 운용하는 기예는 근본적인 무예를 단순히 말 위에서 응용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씀하셨는데, 아닙니다. 그건 무예를 현대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때문에 생기는 오해에 불과합니다. 고대로부터 말은 전쟁물품 중 하나였습니다. 본문에도 명확하게 말이 단순한 교통의 수단이 아니라 전쟁의 도구였다는 인용도 보이네요. 그런 전쟁도구를 다루는 기예가 어찌 무예가 아니겠습니까. 격구와 마상재는 군사오락이자 무예였습니다.
  • 장영민 2014/04/09 [10:41] 수정 | 삭제
  • 좋은 내용 감사 합니다.^^ 십팔기 화이팅!
  • 전영만 2014/04/09 [10:41] 수정 | 삭제
  • 훌륭합니다..퍼가요.~~
관련기사목록
[박청정칼럼] 《무예도보통지》 편서(編書)의 기호글자로 증명하는 십팔기(十八技) 명칭 박청정(전통무예연구가) 2014/04/21/
[박청정칼럼] 본조무예십팔반지명(本朝武藝十八般之名)과 24반(般) 박청정(전통무예연구가) 2014/04/13/
[박청정칼럼] 십팔기지명(十八技之名)과 이십사목(二十四目) 박청정(전통무예연구가) 2014/04/09/
[박청정칼럼] 한국 역사상 무예 유일 공식명칭 『십팔기(十八技)』 박청정(전통무예연구가) 2014/04/0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
광고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개인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