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편집 2024.05.09 [17:49]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섹션이미지
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공지사항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개인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HOME > 칼럼 > 이경명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태권도는 무도인가 무예인가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기사입력  2011/09/22 [14:42]
광고
▲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태권도의 상위 개념은 무도 또는 무예인가에 대한 논의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태권도인들 조차도 그에 대한 관심이 별로 보이지 않은 듯하다. 그럴만한 까닭이라도 있는 걸까. 누구는 당연히 무예라고 불려야 한다고 하는가 하면 어떤 자는 현대적 개념으로 무도라 부름이 옳다는 것이다.
 
한 · 중 · 일 삼국에서는 무예 · 무술 · 무도로 각기 통칭되고 있고 나라마다 그 전통이 흐르고 있다. 그만한 이유가 있을 듯하다. 무예 또는 무도의 어원은 당연히 무술이다. 하지만 그 기원을 따질 것 없이 나라마다 문화적 특성으로 우리나라는 무예, 일본은 무도라고 이르는 것이다.
 
우리나라 고무예의 발전사에 따르면 무예라는 이름이 적확(的確)하다. 물론 수박이니 권법, 택견 등 여러 이름이 등장되고 있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무술의 하위 개념으로서 그 무예의 독창성을 이르는 이름이다.
 
무예도보통지(1790)는 동양의 무예를 집대성한 역사적 저술로서 우리의 표상이다. 지난 15일 KBS 1TV 역사스페셜에서 다룬 ‘이것이 조선의 무예 - 무예도보통지’ 프로그램은 특히 태권도인에게 숙고해야할 화두를 던져준 것 같다.
 
2007년 12월 30일 제정된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에는 태권도는 무도라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 뿐이 아니라 세계태권도연맹(WTF) 수장 조정원 총재는 즐겨 무도라는 개념을 선호하고 있다.
 
근자에 국기원 강원식 원장은 무도라는 개념을 지양하고 ‘무예’라는 이름을 선호하고 주창하고 있다. 하나의 예를 든 것이지만, 이참에 이에 대한 태권도인의 깊은 반성과 태권도인의 한결같은 나라사랑만큼이나 태권도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양하기 위해서도 성과 이름의 구분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국기원은 지난 21일 오전 11시에 국기원(원장 강원식)에서 국가브랜드위원회(위원장 이배용)와 업무협약 조인식을 가졌다. 이미 세계연맹은 지난 7월 21일 국가브랜드위원회 대회의실에서 “태권도 세계화와 국가브랜드 가치의 향상”을 위해 업무협약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대통령 직속의 국가브랜드위원회는 태권도의 가치를 인지하고, ‘태권도 세계화와 국가브랜드 가치의 향상 및 태권도의 명품화를 통한 국가대표 브랜드로의 가치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은 일련의 역사적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현대는 브랜드의 가치로 국가의 위상제고, 나아가 경제적 부를 창출하는 시대이다.
 
태권도계 및 태권도인들의 새로운 각오가 요구된다. 태권도는 고유문화로서 뿐이 아니라 한국을 대표하는 CI로서 ‘무예’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브랜드의 가치 향상을 기해야 한다. 태권도는 한류의 원조라는 긍지에 걸맞은 행동의 모범을 보일 수 있으면 더욱 좋은 법이다.
 
전통무예진흥법 또는 태권도특별법 등은 무예진흥을 위한 발판으로 가치 있는 국가적 사업이다. 하지만 그 정의에 따른 차이가 혹시 무예 간의 괴리를 드러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을지도? 각별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행여 무엇이 잘못된 점이 없는가도 이참에 살펴보고 역사적 의미의 대미를 위해서 단합과 중지가 ‘무예’라는 하나의 이름아래 성취되기를 염원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기사입력: 2011/09/22 [14:42]  최종편집: ⓒ 한국무예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이경명칼럼] 글쓴이에게 던지는 화두: 문화에는 종주국(宗主國)이란 없다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2/01/17/
[이경명칼럼] 문화재 택견 vs 스포츠 택견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2/01/16/
[이경명칼럼] 논문집:「국기원 태권도연구」 vs 「무예연구」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2/01/12/
[이경명칼럼] 해동검도 창시자: 김정호 vs 나한일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2/01/10/
[이경명칼럼] 특공무술 vs 경호무술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2/01/03/
[이경명칼럼] 한국 무예 중흥의 해 2012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30/
[이경명칼럼] 수(數) vs 태권도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27/
[이경명칼럼] 색채 vs 태권도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22/
[이경명칼럼] 한글 vs 태권도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20/
[이경명칼럼] 태극기 vs 태권도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19/
[이경명칼럼] 태권도 기술용어 '겨루기준비와 겨룸새'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15/
[이경명칼럼] 태권도, 한류 그리고 문화산업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14/
[이경명칼럼] 태권도기술용어, 딛기 vs 짓기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13/
[이경명칼럼] 합기도 vs Aikido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11/
[이경명칼럼]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거다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10/
[이경명칼럼] 태권도와 이대순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07/
[이경명칼럼] 태권도한마당 & 강원식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07/
[이경명칼럼] 본국검 vs 검도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06/
[이경명칼럼] 태권도 & 리더십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05/
[이경명칼럼] 국기원 vs 태권도진흥재단 이경명 태권도문화연구소장 2011/12/0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
광고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개인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