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편집 2024.05.18 [08:3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섹션이미지
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공지사항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개인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HOME > 칼럼 > 무협소설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7
부제: 비리아도(秘理雅道) 비밀스런 이치를 간직한 우아한 길
 
한국무예신문 기사입력  2013/03/07 [06:14]
광고
▲ 당구 뉴스이미지.(출처:Sports Donga, Naver) 
중앙은 토(土)이니 믿음[信]을 상징하고, 뜻은 생각[意]이며, 모두와 어울리는[和] 기운을 지녔다.
 
중앙을 가격했을 때 공은 어떤 변화도 없이 곧게 앞으로 굴러간다. 하지만 수구의 정확한 중앙을 찾기는 쉽지 않으니, 눈을 크게 뜨고 즐거운[樂] 마음으로 비위(脾胃)의 기운을 사용하여 모든 것을 쓸어 버리려는 듯 비스듬히[橫] 쳐야 하는데, 간은 검(劍)을 사용하듯 해야 한다.

중앙을 정확히 맞아 토기(土氣)를 머금은 공은 태산을 무너뜨리듯[崩] 육중한 기세로 전진하며, 가격시에 나는 소리는 오음 가운데 궁(宮)에 해당한다.
 
상(上) 즉 공의 위쪽은 방위로는 북(北)이요 오행은 수(水)로 차가운[寒] 성질을 지녔으며 지혜[智]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상부를 칠 때는 두려운[恐] 마음으로 뜻[志]을 담아 신장[腎]의 기운을 사용하는데, 간은 투구[鍜]를 벗듯 자유로운 느낌으로 운용해야 한다.
 
상부가 피격(被擊)되어 수기(水氣)를 머금은 공은 서릿발같은 기세로 모든 것을 뚫어[鑽] 버릴 듯 힘차게 전진하며, 가격시에 나는 소리는 치(徵)에 해당한다.
 
토기에 의한 전진력이 자연발생적(自然發生的)인 것이라면, 수기에 의한 전진력은 인위적(人爲的)인 것이기에 다른 공을 밀어 내는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하지만 그 근원은 같다. 토가 금을 생하는 어머니와도 같은 존재인 때문이다.
 
특히 적구(的球)를 맞히는 두께와 운용하는 공력의 정도에 따라 공이 용사비등(龍蛇飛騰)하듯 비틈을 보일 수도 있는데, 이를 동영(東瀛)에서는 황오시(荒奧施)라고도 한다. 황당할[荒] 정도로 오묘한[奧] 변화를 펼치기{施] 때문이다.
   
하(下) 즉 공의 아래쪽은 방위로는 남(南)이요 오행은 화(火)로 뜨거운[熱] 성질을 지녔으며 예(禮)를 상징하니, 화기(火氣)를 품은 공은 공손함으로 보여 나아가다가 뒤로 물러난다. 그래서 이를 드문[稀] 기예[技] 즉 희기라고 하는 것이다.

마음 속에는 노여움[怒]을 품지만, 밝고[陽] 뜨거운[熱] 정신[神]으로 치니, 그 위력은 약한 듯 보여도 나누어 베풀[署] 듯 색다른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하부를 가격하여 공에 화기를 담고자 할 때는 심장[心]의 기운을 바탕으로, 간은 극(戟)처럼 사용하여 나아감보다는 거둠의 묘(妙)를 살려서 쳐야 한다. 가격시에 나는 소리는 우(羽)에 해당한다.
 
좌(左) 즉 공의 왼쪽은 방위로는 서(西)요 오행은 금(金)으로 건조(乾燥)한 기운이 있으며 의(義)를 상징한다.
 
구술인의 대부분인 오른손잡이의 경우, 눈과 손의 각도 차이로 생기는 시차(視差)로 인해 자칫 겨냥이 빗나갈 수 있으니 쉬워 보이더라도 주의해야 한다.
 
공의 좌부를 가격하여 금기(金氣)를 담고자 할 때는, 폐(肺)의 기운을 바탕으로 비장한[悲] 느낌을 가지고 내재된 넋[魄]을 담아 공을 쪼개듯[劈] 쳐내야 한다.
 
간은 과(戈)를 사용하듯 보이지 않는 비틈을 담아야 하고, 가격음은 상(商)에 해당한다.
 
우(右) 즉 공의 오른쪽은 방위로는 동(東)이요 오행은 목(木)으로 바람처럼 수많은 변화를 담고 있으며 어짐[仁]을 상징한다.

공의 우측을 쳐서 목기(木氣)를 머금게 하려면, 간(肝)의 기운을 바탕에 두고 혼(魂)을 담아 기쁜[喜] 마음으로 자연스럽게 치되, 간은 모(矛)처럼 곧게 찔러야 한다. 가격시에 들리는 음은 각(角)에 해당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기사입력: 2013/03/07 [06:14]  최종편집: ⓒ 한국무예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9 한국무예신문 2013/04/22/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8 한국무예신문 2013/04/18/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7 한국무예신문 2013/04/14/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6 한국무예신문 2013/04/10/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5 한국무예신문 2013/04/08/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4 한국무예신문 2013/04/03/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3 한국무예신문 2013/04/01/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2 한국무예신문 2013/03/29/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1 한국무예신문 2013/03/24/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30 한국무예신문 2013/03/21/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9 한국무예신문 2013/03/20/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8 한국무예신문 2013/03/11/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7 한국무예신문 2013/03/07/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6 한국무예신문 2013/03/04/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5 한국무예신문 2013/02/28/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4 한국무예신문 2013/02/26/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3 한국무예신문 2013/02/21/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2 한국무예신문 2013/02/19/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1 한국무예신문 2013/02/13/
[현리의 당구무협소설] 하수라 霞修羅 HUSTLER - 020 한국무예신문 2013/02/0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
광고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개인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